여기 수록된 에크하르트 작품은 학자로서라기보다 설교가로서의 그의 활동을 보여준다. 도미니코회는 수도자 설교회로도 알려져 있지만 설교의 역할에 대해 크게 강조하는 복음적 수도회다. 토머스 아퀴나스는 이러한 관행을 '사람들에게 명상의 열매를 전하는' 것으로 묘사했다.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의 입장은 이러한 복음 선포의 전통 안에 있는 것이며 그의 철학적 배경은 자신의 신비적 환시를 설명하고 보여주는 일에 크게 기여한다. 에크하르트 사상의 근본적 구조를 형성하고 매혹적인 분위기를 창출하는 것은 이러한 두 가지 요소(대담하게 도전적인 철학-신학 및 초월적 의식 상태에 대한 개인적 영감)가 우연히 합치한 데 있다. 그러나 에크하르트의 언어 사용을 촉발한 것은 이 두 요소의 상호작용이다. 주로 독일어 강론에서 그는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