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의 요령과 요점 144

세상을 건너는 확실한 길

사람들은 이승에서 1% 또는 5% 안에 들기는 간절히 바라고 열심히 노력하거나 혹은 아예 포기하거나 합니다. 어쨌거나 이런 바람은 모든 이들의 심사에 깊이 아로새겨 있습니다. 하지만 높은 의식 세계를 흠모해서 1% 혹은 5% 안에 들고자 하는 욕망을 가진 예는 찾아보기 힘든 것 같습니다. 어제 글을 참조한다면 저는 상자 안의 사고에서 벗어나지 못하다가 바닥 체험을 하고 열심히 상향의 길로 가서 바라건대는 1% 내지 5% 안에 들어가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이것이 이승 삶에서 가장 가치 있는 일인 까닭은 다음 세상으로 건너가는 가장 확실하고 안전한 방편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목표는 불가에서 화엄의 길이며 평생 화엄경을 번역하신 탄허스님은 '향상일로(向上一路)'를 좌우명으로 삼으셨습니다. 다행히 현대 최..

상자 밖의 사고

혜거스님 얘기 꺼낸 김에 더 풀어보겠습니다. 스님은 가부좌를 할 때도 "나는 지금부터 죽은 사람이다."고 생각하면 다리 저린 것도 사라지고 심장 박동을 듣는 경지가 온다고 하십니다. 그러나 저 말씀은 출가한 사람이나 템플 스테이 참가한 사람에게 해당할지 몰라도 우리에게는 어려운 일입니다. 다만 일상생활에서 나는 이제부터 죽은 사람과 같다고 생각하는 것은 좋은 팁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게 진실로 믿는 경지까지 간다면 스피노자가 말한 '영원의 안목' 또는 '신의 안목'에서 사언행위를 할 수 있게 되지 않을까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호킨스 박사는 완전히 깨닫고 보면 몸은 그저 하나의 물건 혹은 애완 동물과 차별없이 여겨지며 마치 '카르마 태엽'으로 자동적으로 움직이는 로봇과 같이 보인다고 합니다. 고등 수학 이..

회광반조와 명상

명상의 특징을 잘 요약해주는 말이 회광반조(回光返照)입니다. 빛을 돌려서 거꾸로 비춘다는 말인데 여기서 빛이란 우리의 의식으로 읽어야 한다고 봅니다. 몸을 가진 우리는 진화 과정에서 생존을 위해 의식을 오감에 집중하여 밖으로 향하게 되어 있습니다. 그리하여 몸의 생존을 위협하는 것을 재빨리 알아차려 반발하거나 도망쳐야 하기 때문입니다. 의식을 되돌려 안으로 비춘다 함은 의식이 나온 존재의 근원을 파악하려는 노력입니다. 이것이 바로 명상입니다. 계속 검색하다가 혜거스님이 명상에 대해 말씀하신 걸 보고 반색을 했습니다. 왜냐하면 탄허스님께 배운 혜거스님은, 우리나라 명상법은 위빠사나와 달리 오관을 닫고 일시적으로 죽는 데 비결이 있다고 하셨기 때문입니다. 회광반조를 실천하는 비법이라고까지 할 수 있습니다. ..

손에 잡히는 명상법

제가 영적 수행에 전념하고 헌신하게 된 계기는, 수많은 그릇된 선택으로 인한 우울과 권태, 가계경영의 실패에 직면해서 죽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게 된 것입니다. 그런데 그렇게 생각하고 보니 죽으면 가족들에게 남기는 게 너무 적고 죽은 후 운명에 대해 매우 불안했습니다. 그러면 되도록 물질적으로도 좀 더 많이 남기고 죽은 후 운명에 대해 좀 더 안정된 것이 되도록 하자는 것이었습니다.마침 서산대사의 말씀이 크게 와 닿았는데 ‘생사를 벗고자 하면 먼저 탐욕을 끊고 애갈을 지워나가라’는 말씀이었습니다. 동시에 중용과 호킨스 텍스트의 접점이기도 한 지성(至誠, integrity)를 철저히 실천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지성의 실천 기반은 우리의 사언행위가 있는 그대로 개인의식은 물론 우주 의식에 기록된다는 ..

윤집궐중의 실천

조선 말기에 독학으로 기독교를 받아들인 선비들은 기독교 핵심이, 불교와 도교 철학이 흠뻑 스며든 성리학에 모순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제 경우 기독교도로서 대학국어 시간을 통해서 사서집주와 논어를 접했습니다. 논어 맹자를 간헐적으로 독서하면서 대충 지내던 중 탄허스님과 홍익학당을 만나면서 그 모든 게 하나로 정리된다는 느낌이 생겼습니다. 기독교와 성리학이 하나가 될 수 있다는 느낌 말입니다. 그러다가 이고 님의 복성서를 번역하면서 성리학이 불교의 다른 버전임을 확인하였습니다.중용 첫머리가 기독교 핵심 사상과 통할 수 있다는 생각을 이곳에서 여러 번 거론한 적 있지만 주자의 중용장구 서문을 오늘 처음 읽었습니다. 제 생각엔 논어도 그렇지만 중용도 디테일에 빠져버리면 숲을 놓쳐버릴 가능성이 크다고 생..

명상과 염송기도

어제 저녁은 아내와 저녁을 먹는데 일년의 반은 일해야 하는 내 신세가 안되어보였는지 "노후에 일하지 않고 놀고 먹을 수 있었으면 얼마나 좋았을까?" 합니다. 저는 '헝그리 정신이 부족하여 지금 이렇게 되었으나 현실에 불만이 없을 뿐 아니라 이승이 최종 종착지라면 나는 확실히 루저지만 이곳은 그저 지나가는 여행지이지 않느냐'고 했습니다. 생명과 의식은 부단히 이어진다는 것이 스승들의 가르침이자 우리의 직관에 맞습니다. 더구나 임종시 가장 중요한 것은 소유관계가 아니라 의식수준이라고 합니다. 요컨대 이승은 학습장소이자 훈련장입니다. 도량이라고도 하지요. 그래서 저는 누차 인간 행복을 위해서는 세상의 개조 개혁으로는 부족하며 내면의 천국을 이곳에서 발견해야 한다는 것을 전제로 인터넷에 글을 쓰고 있습니다. 내..

동양 영성의 핵심 수행법 (3)

조철(朝徹)은 실상 심재, 좌망과 표리를 이루는 것으로 마찬가지로 중요한 것이라 번역을 소개합니다."남백자규가 여우(女偶) 도사에게 물었다. '선생님은 수십년 나이가 들었음에도 여전히 아이 얼굴이십니다. 비법이라도 있습니까?' 여우가 말했다. '글쎄다. 도를 연마했을 뿐이다.' '배워서 도를 얻을 수 있습니까?' 그 사람이 물었다. '당연히 불가능하다.' 도사가 말했다. '너는 그럴 위인이 못 된다. 복량의의 경우 성인의 자질은 많았지만 성인이 되는 길을 몰랐다. 내 경우는 성인이 되는 길은 알지만 성인의 자질을 갖추지 못했다. 그래서 나는 그 자질을 실현시켜 주겠다는 부푼 꿈을 안고 복량의에게 그것을 가르치느라 몸이 단 것이다. 하지만 성인의 자질을 갖춘 사람이니까 그 길을 가는 길이 쉬울 것이라고 생..

동양 영성의 핵심 수행법 (2)

안회가 공자에게 이렇게 말했다. "저는 나아가고 있습니다." "어떤 길로 말이냐?" "저는 인의를 잊어버렸습니다." 안회가 말했다. "아주 좋구나. 하지만 그것으로는 부족하다." 공자가 말했다. "예악을 잊었습니다." 괜찮구나, 하지만 아직 멀었다." 공자가 말했다. " 안회가 다시 말했습니다. "망각 속에 빠져들었습니다." 공자가 반색하며 말했다. "망각 속에 빠졌다니 무슨 뜻이냐?" "몸뚱어리와 사지를 버렸으며 지각을 내던졌습니다. 망각 속에 빠져들었다는 것, 곧 좌망이란 이를 이르는 말입니다." "무한과 하나가 되었다는 것은 호오가 그쳤다는 뜻이다. 변화한다는 것은 매이는 것이 없다는 뜻이다. 그리하여 자네가 내 앞에 가게 되었네. 나는 그대의 발자국을 따르리라." [顏回曰:「回益矣。」仲尼曰:「何謂..

동양 영성의 핵심 수행법 (1)

성(性)의 자리를 유교에서는 중(中)이라고도 하며 시간과 공간이 끊어진 자리이고 따라서 한 생각이 일어나기 전을 말하며 천하의 근본 또는 우주의 핵심체입니다(탄허록 187쪽). '서경'은 도심(道心, 人心에 대비하는 마음으로 참나에 해당)이 미약하므로(人心惟危 道心惟微) 오직 도심에 집중(惟精惟一 允執厥中)해야 한다고 하는데 이것은 불교에서 언제나 참나를 의식하며 에고를 부려야 한다는 것과 같습니다. 이렇게 보면 요컨대 두 종교에 공통하는 바는 명상을 통하여 생각이 끊어진 참나 자리에서 세상 일을 경영하고 향유하자는 것입니다. 즉 안회는 심재(心齋)를 통해 무아를 깨치고 좌망(坐忘)을 통해 이원성을 초극하여 무한과 하나가 되었습니다. 이 대목은 '장자'에 기록되어 있으니 결국 유교가 불교는 물론 도교와도..

은총과 노력

"은총이 그렇게 중요하다면 개인의 노력은 무슨 구실을 하나요?" "노력은 깨달음에 이를 때까지 필요합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참나는 인과에 얽매이지 않고 드러납니다. 그렇지 않다면 행복은 완전하지 않을 겁니다. 인과에 얽매이진 않지만 어떤 식으로든 노력을 해야 합니다. 우리가 노력하거나 노력하지 않거나 하는 차원을 넘는 어떤 상태가 있습니다. 그것을 깨달을 때까지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그런 축복을 단 한번이라도 맛보고 나면 누구라도 그것을 다시 얻기 위해 계속 노력할 겁니다. 그 복된 평화를 체험했다면 그것을 벗어나거나 그밖의 다른 일을 할 사람은 없습니다." Q: If grace is so important, what is the role of individual effort?. Ramana Mah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