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281

8장 1 ; 탈출

도서관에서 나와 극장 뒤편을 다시 보니 천정 가운데 검은 구체가 매달려 있었습니다. 거기에서 빙 둘러쳐진 아이맥스 화면으로 빛을 비춰주고 있었습니다. 드디어 나는 그 구체가 무엇인지 확실히 알았습니다. 그것이 3D 영화의 이미지를 화면에 쏴주고 있었습니다. 그 화면은 우리가 그 일부이기도 한 홀로그램이었습니다. 우리는 그것을 우리 삶과 현실로 알고 완전히 몰입하는 것입니다. 사실 프리브럼은 그 검은 구체가 우리의 뇌이고 그것이 창출하는 영화는 전혀 실상이 아니라고 했습니다. 양자 물리학에 의하면 우리가 이해하는 바와 같은 "실체"는 없으며, 플라톤의 동굴 벽 그림자뿐 아니라 그 그림자를 생기게 하는 불이나 사람, 나아가 동굴까지도 그렇습니다. 모두가 홀로그램이어서 우리가 보는 바대로 존재했다가 사라지곤 ..

나비되기 2014.11.01

7장 4

한편 현대 컴퓨터에서 큰 힌트를 얻습니다. 오늘날 대부분의 컴퓨터는 소위 "2진법 코드"를 사용하는데 이는 다름 아닌 0과 1로 된 것입니다. 그 코드를 들여다본다면 마치 3D 그림처럼 혼란스럽기만 할 겁니다. 하지만 컴퓨터 안에는 중앙처리장치(CPU)가 있어서 컴퓨터의 뇌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이 CPU가 이진법 코드를 받아 컴퓨터 화면에 우리가 볼 수 있도록 바꾸어 비추어 주는 것입니다. 컴퓨터도 감각적 수신장치가 있는데 마우스, 터치 스크린, 마이크로폰, 비디오 카메라 같은 것이 그것입니다. 우리가 이들 감각 장치 가운데 하나로 컴퓨터와 교신하면(예, 마우스 클릭) 그 메시지는 CPU로 가서 추가적인 정보처리를 하게 됩니다. 따라서 컴퓨터의 CPU가 이진법 코드를 받아서 번역하고 그 결과를 화면에..

나비되기 2014.10.30

7장 3

이 모든 것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일까요? 답하기 전에 "오캄의 면도날"이라 하는 과학 개념을 소개합니다. 이 원칙은 거의 7백년 된 개념으로 기술적으로 정확한 해석은 아니지만 바꾸어 말하면 "다른 모든 조건이 같다면 가장 간단한 답이 최선의 답이다."는 것입니다. 그것은 소위 "과학에서의 경제법칙"으로서 하나의 관측에 대해 가장 간결한 설명을 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가장 좋은 답은 가장 적은 수의 가정에서 나온다는 것입니다. 위 뇌 실험의 결과에 대해 과학자의 수만큼 많은 설명들이 시도되었지만 오캄의 원리에 맞는 가장 간단하고 논리적인 설명은 뇌가 물질 세계 밖에서 일어날 일에 대해 먼저 안다는 것입니다. 즉 발생순서는 일견 뇌가 홀로그램 파동 정보를 받아 그것을 밖으로 보내면 우리가..

나비되기 2014.10.28

7장 2

리벳은 시간 역류설을 주장했으나 증명하는 데는 실패했습니다. 다시 말하면 이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서 시간이 역류한다는 증거를 뇌에서 찾을 수 없었습니다. 지금은 이 주장을 잠시 제쳐두고 다른 실험을 보기로 합시다. 이 실험은 1990년대에 딘 라딘 박사가 한 것입니다. 주류 과학계에선 널리 인정받지 못했지만 그는 대단한 경력을 가진 사람입니다. 과학자들이 받아들이기 힘들었던 이유를 보기로 합시다. 라딘은 심장박동, 심전도기, 피부전도기, 혈압기, 호흡측정기 등 여러 신체반응을 측정할 도구를 의자에 고정시킨 사람에게 부착하였습니다. 그 사람은 손에 버튼을 잡고 컴퓨터 화면 앞에 앉습니다. 그리고 준비될 때마다 버튼을 누르라고 합니다. 그리고 5초 후 컴퓨터는 무작위로 그림을 골라 화면 위에 보여줍니다. 컴..

나비되기 2014.10.23

7장 1 ; 바깥 세계라는 건 없다

칼 프리브럼 박사는 길고도 빛나는 삶을 살았습니다. 1919년 오스트리아 태생으로 신경외과의인 동시에 신경생리학자로, 기억이 뇌의 어느 부분에 저장되는지를 오랫동안 연구하였습니다. 이 문제는 1920년대 뇌과학자인 칼 래쉴리가 "쥐의 뇌에서 어느부분을 제거하든지 제거 전 학습한 복잡한 작업의 기억을 뿌리뽑을 수 없다.(마이클 탤보트의 책)"는 것을 발견함으로써 제기되었습니다. 그래서 프리브럼은 뇌세포(뉴런)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 같은 기억 저장의 비밀을 풀고자 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양자 물리학 개척자 가운데 하나인 데이비드 봄을 만나서야 답을 찾게 되었습니다. "봄은 뇌가 홀로그램과 비슷한 방식, 즉 양자수학 원칙과 파동의 특성에 따라 작동한다는 프리브럼 이론의 기반에 기여하였습니다." 기술적으로 "..

나비되기 2014.10.23

6장 2

홀로그램 우주란 넌센스가 아닐까요? 우리가 보고 만지는 것은 아주 생생하고 단단하게 보이고 느껴집니다. 우리가 보는 사과는 손을 내밀어 잡고 먹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그게 어떻게 홀로그램입니까? 우리는 방바닥을 뚫고 지나가지 않으며 벽을 뚫고 지나갈 수도 없습니다. 첫째로 할 수 있는 답은, 많은 양자 물리학자가, 물질 세계가 바로 홀로그램이라고는 하지 않으며 홀로그램처럼 움직인다고 합니다. 왜냐하면 수학적으로 두가지가 같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지금은 아주 많은 과학자들이 최근의 실험을 근거로 우리가 진짜로 홀로그램 세계에서 산다고 하는 데까지 나아갔습니다. 예를 들면 2008년 크레이그 호간은 "GEO600의 성과가, 내가 생각하는 대로라면 우리는 거대한 홀로그램 우주에서 사는 것이다."라고 합니다...

나비되기 2014.10.21

6장 1 ; 홀로그램

"현실"은 '무한한 장'으로부터 어떻게 창조될까요? 많은 양자 물리학자가 그 과정은 홀로그램이 만들어지는 것과 아주 비슷하다는 데 동의합니다. 다른 말로 하면 우리가 보는 우주는 "홀로그램 우주"입니다. "극소 세계로 자꾸 내려가서 사물의 핵심에 다가간, '실체'에 관한 과학적 견해를 보면, 즉 끝까지 가보면 그 실체가 견고하지 않으며 거의가 허공이다. 견고한 게 있다 하더라도 그것은 물질적이고 견고한 실체라기보다 홀로그램으로 된 그림을 더 닮아 있다.(미실 레드위드 박사)." "예를 들면 런던 대학의 물리학자 데이비드 봄은, 겉보기에 견고하더라도 우주는 환영이며 거대하고 놀랍도록 세세한 홀로그램으로 믿고 있다.(마이클 탤보트)" 잠시 돌아봅시다. 양자 물리학은 사실상 수학으로 된 과학이며 우리가 "현실..

나비되기 2014.10.21

5장 2

존 하겔린 박사는 설명합니다. "지난 25년동안 물리학의 우주에 대한 이해력은 증진되었는데 거시법칙에서 미시법칙에 이르기까지 자연법칙의 아주 깊은 수준까지 들어갔다. 즉 자연의 움직임을 분자에서 원자, 원자에서 원자핵과 그 이하까지 탐구하여 우주의 핵심, 즉 우주의 기반이 지능으로 된 하나의 우주장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자연에 존재하는 모든 힘, 그리고 모든 '입자'를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즉 하나로 된 존재의 바다에 서로 다른 물결들이다...그것은 "통일장" 또는 "초끈 장"이라 하는데 모든 것의 바탕(마음과 물질)에 있다. 그것은 비물질의 장이다. 행성, 나무, 사람, 동물, 그 모두가 이 통일된 초끈 장에서 나오는 진동하는 파동이다. 여기에서 자연의 모든 법칙이 솟아나온다. 모든 근..

나비되기 2014.10.19

5장 1 ; 무한한 장 (場)

전자가 파동이면서 입자라구요? 잠시 입자로 움직이고 다음에는 파동으로 움직인다고요? 처음엔 아무도 이게 진짜 사실이라고 믿을 수가 없었습니다. 사람들은 틀림없이 뭔가 잘못되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단 하나의 전자가 이중 슬릿을 지날 때도 입자가 아니라 파동처럼 움직이는지 보기로 했습니다. 그러나 전자를 관찰하는 순간 아주 이상한 일이 생겼습니다. 화면 위에는 비비탄을 쏜 것처럼 정확히 "입자"의 행태가 나타났습니다. 전자를 그저 "관찰"했더니 파동이 아니라 입자로 돌아간 것입니다. 즉 전자가 비비탄처럼 두개의 슬릿이 아니라 한개의 슬릿만 지나간 것입니다. 그러면...결론은 자연상태에서 관찰되지 않으면 전자는 입자가 아니라 파동이지만 관찰을 하면 시간과 공간에 자리잡은 입자가 된다는 것입니다..

나비되기 2014.10.19

4장 2

'10의 N승' 비디오는 1977년 당시 알고 있던 부분을 끝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탄소 원자의 중성자에 들어있는 한개의 양성자에서 끝납니다. 그러나 지난 수년간 기술이 발전했고 과학자들이 더 깊은 "내부 우주"를 탐사한 결과 그들이 발견한 소립자가 생각한 대로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냈습니다. 최소한 그것들은 지난 수백년간 우리가 믿어온 바의 물리 법칙에 따르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진짜 소동을 일으킨 가장 유명한 실험이 '이중 슬릿' 실험인데 그것은 1801년 영국 과학자 토마스 영이 최초로 빛을 가지고 한 것입니다. 그는 빛이 실제로 그때까지 믿어온 바의 입자가 아니라 파동처럼 행동한다는 것을 밝혔습니다. 그리고 1961년 빛이 아니라 전자를 가지고 같은 실험을 했고 드디어 1974년에는..

나비되기 2014.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