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비되기

'나비 되기' 독후감

목운 2020. 9. 12. 09:01

# 이 글은 2015년에 쓴 것으로 '블로그 소개' 카테고리에 링크했으나 분실을 우려해 이곳에 복사해 두는 것입니다.

이 책은 부제처럼 '정신(영성) 진화의 새롭고 근본적인 길'을 제시하려는 시도입니다. 특히 변혁을 위한 거의 모든 수단을 섭렵해본 저자가 62세때 삶의 바닥을 체험하고 소위 마음을 완전히 비운 상태에서 깨달은 체험의 집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제가 특히 인상깊게 느낀 것을 위주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1. 30년간의 양자물리학에 대한 관심을 근거로 플라톤의 동굴 비유가 뜻하는 게 홀로그램 우주임을 입증코자 노력하고 있습니다(1부). 저자는 이 비유를 360도의 화면을 가진 3D 영화관으로 바꾸어서 우리 삶 자체가 '연기'와 같은 것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실상 이런 생각은 장자의 호접몽과 불가의 마야론의 취지와 같습니다.

2. 2부에서는 삶의 모델로서 의식모델과 게임모델이 제시됩니다. 의식모델이란 고요한 가운데 지켜보는 의식으로서의 'I Am' 파트를 무한자(Infinite I)로 보고 우리가 체험하는 모든 것의 주관을 무한자가 한다는 가설입니다. 통상의 우리는 'I Think' 파트로서 무한자가 창조한 현실에 반응하고 느끼는 역할만 합니다. 그런데 이 가설은 힌두교나 기독교 전통에서 세상사를 걱정말고 모두 신께 맡기라는 명령과 상통합니다.

3. 게임모델을 연장해서 연기자모델과 인생의 전후반을 얘기하는데 잘 살펴보면 후자 둘은 게임모델의 변형확장으로 봐도 됩니다. 특히 전후반의 중간에 고치속 번데기 과정이 있는데 저자는 이 기간이 기독교 신비주의의 '영혼의 어두운 밤'에 해당한다고 해서 2~3년 걸리는 걸로 봅니다. 이 기간은 바로 3D 영화관을 탈출함(breakout)으로써 시작된다고 보는데 마이스터 에카르트의 돌파(breakthrough)를 연상시킵니다.

4. 특히나 이 탈출이 없는 기존의 거의 모든 변혁 노력은 극장 내에서의 무한 루프처럼 헛돌고, 지복을 누리지 못하는 책임을 개인에게 돌리기 때문에 효과가 없다고 주장합니다. 어쨌든 저자는 극장탈출 이후 고치단계에서 두가지 중요한 작업을 제시하는데 그 한가지가 이미 소개한 스트레스에서의 감정분석(로버트 프로세스)입니다. 또 한가지는 영적 자기분해인데 우리의 정체성으로 생각하는 것들이 진리에 맞는지 철저히 묻고 맞지 않는 걸 끝까지 찾아 없애는 노력입니다.

5. 종합컨대 저자의 처방은 불가의 방하착 및 데이비드 호킨스의 '내려놓기'와 거의 일치합니다. 즉 선악 판단을 하지 않는 불이문(아드바이타, non-duality)의 길을 통해 선악과 먹기전의 아담과 이브 상태에 도달함으로써 지복을 얻을 수 있다고 보는 거지요. 이것은 당신께조차 선하다는 말을 하지 말고 모든 심판을 금지한 예수의 명령에도 통합니다. 영적 자기분해를 통해 도달하는 경지는 무아(no self)라 해서 이 작업을 양파까기에 비유합니다. 이 처방은 마하리쉬의 '나는 누구인가'를 철저히 묻는 자아탐구에 조응합니다.

6. 마지막으로 이런 과정을 거쳐 도달하는 경지를 나비로 비유한 것은, 지천명과 이순을 거쳐 마음대로 해도 걸리는 게 없는 유가의 이상인 종심소욕불유구를 떠올리게 해서 이 책이 동서양 영성을 종합했을 뿐 아니라 체험과 실험을 거친, 손에 잡히는 수양법이라는 게 제 생각입니다. 부연하면 무한자의 주권에 완전히 순명하는 것은 지천명에, 에고를 없애 무아가 되는 것은 이순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고 싶습니다.

'나비되기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차(재수록)  (0) 2015.01.06
15장 3  (0) 2014.12.23
15장 2  (0) 2014.12.21
15장 1 ; 초탈과 "무욕"  (0) 2014.12.19
14장 5  (0) 2014.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