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性)의 자리를 유교에서는 중(中)이라고도 하며 시간과 공간이 끊어진 자리이고 따라서 한 생각이 일어나기 전을 말하며 천하의 근본 또는 우주의 핵심체입니다(탄허록 187쪽).
'서경'은 도심(道心, 人心에 대비하는 마음으로 참나에 해당)이 미약하므로(人心惟危 道心惟微) 오직 도심에 집중(惟精惟一 允執厥中)해야 한다고 하는데 이것은 불교에서 언제나 참나를 의식하며 에고를 부려야 한다는 것과 같습니다.
이렇게 보면 요컨대 두 종교에 공통하는 바는 명상을 통하여 생각이 끊어진 참나 자리에서 세상 일을 경영하고 향유하자는 것입니다. 즉 안회는 심재(心齋)를 통해 무아를 깨치고 좌망(坐忘)을 통해 이원성을 초극하여 무한과 하나가 되었습니다. 이 대목은 '장자'에 기록되어 있으니 결국 유교가 불교는 물론 도교와도 상통하는 것입니다.
"마음을 삼간다는 것이 무슨 뜻입니까?" 안회가 물었다. 이에 공자가 대답했다. "네 뜻을 하나로 모아라. 귀로 듣지 말고 마음으로 들어라. 마음으로 듣지 말고 영혼으로 들어라. 귀의 작용은 듣는 것에 그치며, 마음의 작용은 형상과 관념에만 그친다. 영혼은 비어 있으면서도 모든 것에 반응한다. 도는 이 빈 곳에 거처하니, 비우는 것이야말로 마음을 삼가는 일이니라."
"내가 마음을 삼가는 법을 익히는 것을 가로막았던 것은 나 자신 안에 있었을 뿐입니다. 마음 삼가는 법을 수련하자마자, 저는 나 자신이라는 것이 애당초 없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비운다는 것이 바로 이를 뜻하는 것입니까?" "옳다. 바로 그것일 뿐이로다!" [回曰:「敢問心齋。」仲尼曰:「若一志,无聽之以耳而聽之以心,无聽之以心而聽之以氣。聽止於耳,心止於符。氣也者,虛而待物者也。唯道集虛。虛者,心齋也。」顏回曰:「回之未始得使,實自回也;得使之也,未始有回也。可謂虛乎?」夫子曰:「盡矣。吾語若!」]
장자 내편 인간세에 나오는 공자님과 안회의 대화입니다. 장자의 수양법, 즉 도교 수행법의 핵심인 심재에 대한 설명입니다. 위 번역은 현대 중국 최고 지성 가운데 하나인 우징숑(吳經熊) 님 번역입니다. 우 박사가 선불교란 인도에서 유래한 불교와 중국 도교를 부모로 하는 자식이라고 했듯이 우리에게 익숙한 선불교는 도교를 계승한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게다가 도교 핵심 경전 가운데 하나인 장자에서 공자님과 안회를 서두에 인용한 것으로 볼 때 유교 또한 도교와 뗄 수 없이 표리를 이루는 종교입니다. 제가 매일 묵상 자료로, 또 수행 자료로 호킨스 님의 '내려놓기'를 인용하는데 그것은 호킨스 박사의 수행법이 손에 잡히는 매우 실용적인 방법인 데다 위 유불도의 핵심 수행법과 상통하기 때문입니다.
'공부의 요령과 요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양 영성의 핵심 수행법 (3) (0) | 2018.01.22 |
---|---|
동양 영성의 핵심 수행법 (2) (0) | 2018.01.22 |
은총과 노력 (0) | 2013.10.15 |
신을 만나기 (0) | 2013.10.13 |
멸정복성(滅情復性)의 길 (0) | 2013.10.11 |